안드로이드 개발 5

안드로이드 개발 (46) Process, Activity, Compose LifeCycle

안드로이드 개발에서 Process, Activity, Compose 의 세가지 LifeCycle은 안드로이드 개발자가 알아야할 필수 지식이며, 앱의 문제 해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주제 입니다. 특히 실무 개발자라면 각 컴포넌트를 생성하고 파괴하는 과정과 그 사이에서 적절히 동작을 관리하는 방법을 잘 이해해야합니다.1. 안드로이드 앱 생명주기 (Application LifeCycle)//Application Classimport android.app.Applicationclass CustomApplication: Application(){ override fun onCreate() { super.onCreate() //.. 앱 초기화 시점 로직 실행.. }}Applic..

안드로이드 개발 (37) Kotlin In Action 정리 - 1

현업에서 일을 하다보면, Back To The Basic 을 통하여 디버깅 추적 및 안전한 코드 작성 능력을 강화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이 글은 J brains 에서 일하는 Dmitry Jemerov, Kotlin 개발팀의 일원인 Svetlana lsakova 이 두명이 집필한 책인 Kotlin In Action 내용을 정리한 내용 입니다. 더보기 Drimitry jemerov 는 대표적으로 최초의 Kotlin ByteCode Generator를 만들었다. Svetlana Isakova는 대표적으로 Kotlin Compiler의 Type Inference 과 Overload resolution 부분을 개발 하였다. 최근에 Effective Kotlin 과 Kotlin In Action을 다시..

안드로이드 개발 (36) 심플한 Flow Sample

마침, 최근에 리딩중인 사이드 프로젝트에서 과제로 Flow 를 사용하는 법을 간단하게 정리하기로 하여서,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개요] 예전 Jatpack LiveData가 등장하였을 때 더 이상 observe 한 객체의 라이프사이클 처리를 개발자가 직접적으로 처리할 필요가 없어서 매우 편해짐에 따라 이후 안드로이드 개발에서 LiveData를 거의 필수적으로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LiveData 의 경우 LifeCycle 종속적이라는 문제가 생깁니다. 대표적으로 따라 data Layer, Domain Layer 에서 Room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때 반환하는 객체가 LiveData 일 경우 import androidx. 종속이 생깁니다. 또한 LiveData는 간편함을 제공하는 훌륭한 da..

안드로이드 개발(35) 안드로이드 설계 - Layered Architecture

잠이 안오는 밤에 생각을 정리하기 위해 글을 작성 하게 되었습니다. 안드로이드 설계 관한 이야기를 하기전에, 안드로이드 개발을 이야기 해보자면 안드로이드 개발은 Activity, Service, ContentProvider, BroadCastReceiver 크게 4개의 컴포넌트가 존재합니다. 이 네가지는 공통적으로 Context를 제공해주며 앱에 진입할 수 있는 진입점이 됩니다. 또한 안드로이드에서 어플리케이션은 기본적으로 반드시 1개 이상의 Activity가 필요합니다. Activity가 없는 어플리케이션은 실행 할 수 가 없습니다. 그로므로 manifest에 최소 1개의 Activity 가 있어야 하며 앱 실행의 시작점을 Activity intent-filter안에서 명시 해놔야 합니다. Activi..